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는 무엇일까?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이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중성선의 정의와 용도, 접지선의 정의와 용도를 먼저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중성선의 정의 및 용도
실내 배선 전기방식에는 사용하는 부하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의 방식을 갖고 있어요. 단상 2 선식, 단상 3 선식은 일반가정에서 주로 쓰이며 삼상 4 선식은 빌딩, 공장 등에 주로 사용돼요. 중성선은 단상 3 선식의 경우나 3상 교류 계통에서 변압기를 Y 결선하는 경우에 그 중성점에 접속되는 전선(인출한 선)을 말합니다. 배전계통에서는 일반 상선 사이의 선간 전압 이외에 상선(R, S, T 또는 A, B, C 등)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 즉 상전 압의 사용이 가능하며 선간 전압은 동력용으로 사용하고, 상전 압은 전등용으로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전기공급방식이 3상 4 선식, 1상 2 선식 등에서 접지선과 달리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부하에 전류를 공급합니다. 380/220 3상 4 선식 공급방식의 경우 R과 S, 또는 R과 T 등 상선을 이용하는 경우 380V의 전압을 R과 N, S와 N, T와 N을 연결하는 경우 220V전압을 사용하게 됩니다. 정리해서 말하면 다상 교류의 전원 중성점에서 꺼낸 전선을 뜻합니다. 이끌어낸 끝에 접지하죠. 단상 3 선식, 삼상 4 선식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압선의 전압은 1/2 정도이며 중앙선의 전류는 0이 됩니다. 그러므로 전력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접지선의 정의 및 용도
접지선은 대지의 접지극과 연결된 선을 말함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대지와 등전 위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정상적인 전기회로 이외의 누설전류 등을 대지로 귀로시 켜 인축을 전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참고로 접지선마다 내식성, 전류 용량, 기계적 강도에 따라 여유 있는 굵기, 적당한 재질의 접지선을 선택해야 합니다. 동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종종 알루미늄을 사용하기도 해요. (동선보다 굵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흙에서 부식당하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접지선 굵기의 최저한도는 전기설비기준에 규정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어떤 것을 사용하든 간에 굵기의 연동선 혹은 이상의 굵기, 강도를 갖고 있으며 쉽게 부식되지 않는 것을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금속선으로 고장 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할 수 있어야 하죠.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점 및 유사함
가장 큰 차이점은 중성선은 정상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접지선과 달리 일반적인 경우 전기회로의 일부로 전기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시 전류가 흐르는 상태 즉 통전 상태를 유지하게 됨 중성선은 일반적으로 접지선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내선규정에서는 전압선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접지선은 지중의 접지극(대지)과 등전 위를 만들거나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일반적인 건축물인 경우) 중성선에는 상전류의 20%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불평형 전류만을 고려한 값이며 비선형 부하(정류기, 인버터, UPS, 컴퓨터, 모니터, 복사기 등)나 전기로 용접기 등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발생하는 부하가 있을 경우는 다릅니다. 이 경우에는 해당하는 전류가 중성선에 흐르게 됩니다. 상고 조파 전류 합성이란 정상과 역상 고조파는 벡터 합이고, 영상고조파는 스칼라 합을 의미함.(민원사례를 보면 상전 류보다 중성선의 전류가 더 큰 경우가 있고 그 원인의 대부분은 고조파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이상은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 등에 따른 독립 접지방식에서의 차이고 일반적인 국내 현장의 실정에 따른 내용이며 병원 등 특수설비나 송변전설비의 접지, IEC, NFC 기준 채용 등 접지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그리고 접지선과 중성선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면 평상시엔 문제가 안되지만 지락, 뇌서지 침입 등의 이상 상태에선 여러 가지 장애도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중성선과 접지선의 정의와 용도, 차이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실기 공부방법 (0) | 2020.11.20 |
---|---|
ASS의 적용규격과 동작특성은? (0) | 2020.11.20 |
단로기(DS)로 부하전류를 개방하면 안되는 원리 (0) | 2020.11.20 |
절연저항 측정(megger)의 원리 (0) | 2020.11.20 |
공사업체 경험 장단점 (0) | 2020.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