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 적용규격과 동작특성은?
1. 개요
우리나라 배전선로는 22.9kV 3상 4 선식 다중접지방식으로 지락시 지락 전류가 너무 커 배전선로의 리 클로 져나 변전소 차단기가 동작되어 다른 건전한 수용가에 피해를 유발합니다. 건전 수용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선규정에서는 수전용량 300 kVA초과 1000 kVA이하 특별고압 간이 수변전설비에 ASS설치가 의무화되었어나 300 kVA이하 INT S/W의 높은 사고발생률과 제품 단종으로 현재는 1000 kVA이하 특고 간이 수변전설비 인입 구개 폐기로 ASS를 설치해야 합니다. ASS종 류는 유입형, 기중형, 가스형이 있으나 여기서는 유입형으로 설명합니다.
2. 적용규격
SPS-KEMC(한국 공업 협동조합) 1126-585
3. 유입형 ASS(Automatic Section Switch)
가. 구성
1) 본체 유입형은 밀폐형 구조로 내부에 절연유가 채워져 있으며 개폐부, 검출부, 전원부로 나눠집니다.
가) 개폐부는 고정 점점과 가동 접점이 있으며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리믹스 위치, DC전동기가 있습니다.
나) 검출부는 각상의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CT 3개로 Y결선으로 잔류 회로 구성하여 제어함에 신호를 보냅니다.
다) 전 원부는 C로 분압 한 PT로 제어함의 배터리 충전용으로 DC 또는 AC로 공급합니다.
2) 제어케이블 14P 케이블로 된 양쪽에 암수 형태의 커넥터로 본체와 제어함을 연결
3) 제어함 배터리와 반도체 소자 등으로 구성된 전자기판 및 표시창으로 구성
나. 동작특성(주요 기능)
1) 과전류 트립 기능 동작 시한은 최소 동작 전류 정정치의 1.5배에서 2.5초 이상 유지하는 강반 한시 특성 곡선에 따라 동작합니다.
2) 과전류 lock 및 축 세트 립 기능 고장전류가 800A이상인 경우, 개폐기는 lock 되며 후 비보호 장치(리 클로 져 , 변전소 CB)의 동작으로 선로 무전압 시 축세트립하여 고장 회로를 선로에서 자동 분리합니다.
3) 돌입전류 억제 기능 선로재 가압 시 발생되는 돌입전류에 대하여 고장전류로 인식하지 않고 0.5초 또는 1초 설정치에 따라 트립 동작을 지연시킵니다.
다. 동작 협조
1) 수용가에서 고장전류가 800A이상인 사고가 발생하면 배전선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리 클로 져가 이를 감지하여 트립되며, 트립된 리 클로 져는 약 120㎐(2초) 후 재투입됩니다.
2) ASS는 무전원인 상태에서 개로준비시간1.4~1.7초(84~102㎐)를 거쳐 자 동 트립 됩니다.
3) 리 클로 져가 재투입될 때에는 ASS가 개방되어 있어 배전선로에서 고장 개 소는 분리되며 재송 전이 가능해집니다.
라. 정정
1) 지락 전류는 상전류의 50%에 정정
2) 돌입전류 억제 시간 정정 : 0.5초 정정(유도 성부 하=1초)
마. 설치 유지상의 주의사항
1) 개폐기의 바닥면은 수평을 유지.
2) 개폐기의 전원 부하 측 구분은 없다고 되어 있으나 장시간 개방 시 원활한 배터리 충전을 위해서는 열림 쪽을 전원 측으로 설치.
3) 축전지가 방전되면 ASS의 기능이 정지되므로 축전지의 충전상태 확인.
4) 설치 후 배터리는 DC24V이상 확인하고 교체 권장 주기는 2~3년.
5) 본체 외함의 변형 유무나 부싱 균열, 파손유무 및 누유 등을 확인.
6) 제어함 내 개/폐 표시 램프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
7) 본체와 제어함은 인체 감전 방지 및 기기의 성능 확보를 위해 반드시 접지.
8) 우천 시 및 우천 후 수동 조작용 로프 사용금지.
4. 결론
유입형 ASS는 점검방법이 육안점검 및 배터리 전압 확인 등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한전 전기안전공사 통계상 사고율이 높은 인입 개폐기에서 점검 및 유지관리 차원에서 보다 정밀한 점검방법의 도입이 필요합니다. 본인의 조사에 의하면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지만 제어케이블의 14 PiN을 통해 본체 충전용 PT 및 전류 검출용 CT, 모터 코일, 트립 코일의 단선 상태와 개폐 상태의 리밋스 위치의 접점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규격을 보완하여 제조사들은 통일된 제어 케이블 생산(PIN사용 동일)하여 제어케이블의 14 PiN을 통한 검사 점검기법에 도입하면 검사 및 점검, 유지관리 업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성선도 감전이 될까? (0) | 2020.11.21 |
---|---|
전기기사 실기 공부방법 (0) | 2020.11.20 |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는? (0) | 2020.11.20 |
단로기(DS)로 부하전류를 개방하면 안되는 원리 (0) | 2020.11.20 |
절연저항 측정(megger)의 원리 (0) | 2020.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