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전자18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는?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는 무엇일까?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이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중성선의 정의와 용도, 접지선의 정의와 용도를 먼저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중성선의 정의 및 용도 실내 배선 전기방식에는 사용하는 부하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의 방식을 갖고 있어요. 단상 2 선식, 단상 3 선식은 일반가정에서 주로 쓰이며 삼상 4 선식은 빌딩, 공장 등에 주로 사용돼요. 중성선은 단상 3 선식의 경우나 3상 교류 계통에서 변압기를 Y 결선하는 경우에 그 중성점에 접속되는 전선(인출한 선)을 말합니다. 배전계통에서는 일반 상선 사이의 선간 전압 이외에 상선(R, S, T 또는 A, B, C 등)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 즉 상전 압의 사용이 가능하며 선간 전압은 동력용으로 사용하고, 상.. 2020. 11. 20.
단로기(DS)로 부하전류를 개방하면 안되는 원리 단로기로 부하전류를 개방하면 안되는 원리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으면 더 좋았겠지만,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고 이렇게 타산지석으로 공유하게 되어서 다행입니다. 차단기는 부하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접점을 개방할 때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소호"라 함은 전극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모양이 개방하는 양쪽 전극의 전위의 분포에 따라 양전극을 중심으로 원호(활시위를 당긴 활) 형태의 모양으로 만들어 지므로 이 아크를 제거한다는 의미로 "소호(원호가 사라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차단기에서 아크를 소호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1. 절연유 속에 전극을 넣는 형(유입 차단기 OCB) 2. 고압의 압축공기로 아크를 불어서 소멸시키는 형(공기 차단기 .. 2020. 11. 20.
절연저항 측정(megger)의 원리 절연저항 측정의 원리는? 메거(MEGGER)는 직류전압을 전로에 인가해서 전로의 전기적인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전로에 직류전압을 가할 때 발생하는 충전 전류와 누설전류를 합한 전류값으로 전로에 인가한 직류전압을 나누어서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순한 방법을 사용합니다(R=V/I) 1. 절연저항 측정의 원리식입니다. 절연저항=(인가전압[v]/((충전 전류(I charge)+누설전류(I leak))[A]))[ohm] 반드시 직류전원을 사용해야 합니다. 측정 초기에는 측정전로에 큰 직류충전 전류가 흘러서 절연저항값이 0에 근접합니다. 측정 선로에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전류는 0이 됩니다. 이후 측정 선로에는 누설 저항(漏泄抵抗) 경로를 통한 누설전류만 흐르게 되어 측정 선로의 절연 저항값을 지침 합니다... 2020. 11. 20.
공사업체 경험 장단점 공사업체 정보와 경험을 알려드립니다. 요즘 인터넷을 보면 전기 공사업체로 사회 초년생을 시작하고자 하거나 전기 타 직종에 근무하시다가 공사업체로 오시려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감히 그분들에게 몇 가지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저보다 경력과 경험이 많은 분들도 계시지만 짧은 경력과 짧은 경험이나마 제가 느꼈던 이 바닥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제 소개를 하자면 공사업체 현장 관리 및 공무 업무 4년 수배전반, 분전반 설계 및 제작, 공사 업체에서 2년 정도 일한 경력이 미천한 30살입니다. 저는 전기과를 졸업하지도 않았으나 어쩌다 보니 지인을 통해서 이 바닥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짧은 경험이나마 전기공사업체에 대해 보고 듣고 경험한 바에 따라 장단점을 나열해보고자 합니다. 장점 1. 정년이 없다.. 2020. 11. 20.
전기실 차단과 복전 방법은? 전기실 차단과 복전 방법 저의 그동안의 경험을 통한 정전 준비와 정전 순서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참고로 설비별로 정전 방법이나 순서가 다를 수 있으니 자신의 설비에 맞는 방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전 준비 정전 시 문제 될 수 있는 부분은 사전에 차단하세요. 주차 게이트 미리 올려두시고 차 못 나가요. CCTV 미리 꺼두시고 카메라 기판 자주 나가요. ELEV와 주차타워는 미리 잡고 꺼두시고 부스터펌프 미리 꺼두시고 고장 나면 세대 물 안 들어가요. 가끔 ATS 절체시 기판 나가는 경우 있거나 프로그램 에라 생길 수 있음 복구하는데 시간 많이 걸려요. 부하차단 일반 MCCB부터 그다음은 비상용 MCCB 이때 지하 전기실 MCCB전등만 켜 둡니다. 모든 MCCB차단 일반 ACB차단 마지막 비상용 ACB.. 2020. 11. 19.
%Z 해석 %Z해석 1. % Z란? 회로 내에서 정격전류(In)가 흐를 때 기기 내부 전압강하(e)가 정격전압(Vn)의 몇 % 인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퍼센트 임피던스의 정식 명칭은 퍼센트 임피던스'전압강하' 단순 임피던스(단위 옴)보다 전압 강하율에 가까운 개념이라고 생각됩니다. 2. % Z 확인방법 그림과 같이 정격전류를 흘려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 e를 측정하고, 이때 e를 임피던스 전압강하라고 합니다. 그게 정격전압의 몇 % 인지 구하면 % Z입니다. 보통 위 그림과 같은 단락시험을 통해서 구합니다. 2차측을 단락시켜 회로내 부하가 해당 기기만 존재하게하고, 전류계의 값이 정격전류때 전압계의 값을 측정합니다. 다른 기기가 없기 때문에, 정격전류시의 전압계값이 임피던스전압강하(e)가 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2020. 11. 19.